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문신사 제도화 민관협의회 TFT 회원들과 함께 '문신사법 제정 촉구' 기자회견에서 발언하는 박주민 의원
[선데이타임즈=윤석문 기자]문신을 합법적으로 시술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함으로써, 문신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문신사법 제정과 법제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은 13일 국회 소통관에서 “성인의 30%, 약 1,300명이 문신을 경험했고, 시술자는 30만명에 달한다”라며, “이곳 국회에도 눈썹문신을 한 의원님들을 여러명 볼 수 있다”라고 강조하며, 문신사법의 법제화 필요성을 언급했다.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문신사 제도화 민관협의회 TFT 회원들과 함께 '문신사법 제정 촉구' 기자회견에서 발언하는 박주민 의원
그러면서 박 의원은 “우리나라는 문신을 합법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할 법이 없다”며, “병·의원에서 이뤄지는 문신 비율은 고작 1.4%이다. 나머지는 모두 제도권 밖에서 이뤄지는 것”이라고 밝히며, 현재 음지에 머물고 있는 문신을 제도권으로 가져와 안전한 관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계속해서 “저는 변호사 시절부터 문신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형사처벌을 받게 된 분들을 변호하면서, 이 문제의 부당함을 가까이에서 보았다”며, “국회의원이 된 후에는 이 불합리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 20대 국회부터 꾸준히 문신사법을 발의하고, 통과를 위해 달려왔다”라고 밝혔다.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박주민 의원 및 문신사 제도화 민관협의회 TFT 회원들과 함께 '문신사법 제정 촉구' 기자회견에서 발언하는 김도윤씨
문신사 제도화 민관 협의체 TFT 김도윤은 “다양성은 민주주의 사회의 장점이지만, 법제화가 필요한 문신 산업에서는 법제화를 가로막는 ‘서로 다른 차이’가 되었다”며, “지난 국정감사에서 보건복지부 장관님의 문제 제기를 경청하고, 유관 단체들이 한목소리를 낼 수 있는 단일 창구를 마련하기 위해 연대하였다”라며, 문신의 합법화를 위해 중심이 될 수 있는 문신사 제도화 민관 협의체 TFT 구성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이어 “19개 단체는 하나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연대했다. 행여 다양한 의견이 있더라도 단일화된 하나의 창구를 통해 입법부, 행정부와 소통하며 법제화에 기여하겠다”라며, “법제화의 취지인 소비자의 안전이 우선시되는 제도를 완성시키고, 이 제도를 안전과 공정한 경쟁이 보장되는 산업의 기틀로 삼겠다”라는 말로 최근 합법화가 되지 않아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일부 협회 및 단체를 직격하며, 문신 관련 단일 창구를 통해 합법화 이후의 올바른 활동을 예고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문신사 제도화 민관협의회 TFT 신유정, 김기향, 박평일, 서은경, 민영아, 박동주, 김도윤, 황수경 등이 박주민 의원과 함께 국회에서 문신사법 제정을 촉구했다.